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성격발달의 단계이론

반응형
SMALL

Erikson의 생애의 8단계

영아기(0-1세)

기본적 신뢰 대 불신- 어떻게 안전할 수 있을까(희망)

이 시기에 아동은 부모(돌보는 이)의 행동에서 일관성, 예언성, 신뢰성을 발견하게 되면 부모에 대한 기본적 신뢰감을 발달시킨다. 또한 자기에 대한 신뢰감의 형성도 중요하다. 아동의 성장에는 신뢰와 불신의 경험이 모두 필요하며 중요한 것은 신뢰와 불신 사이의 적당한 비율이다. 궁극적으로 신뢰는 부모의 자기 확신, 즉 자기가 올바르게 하고 있다는 인식에 의해서 좌우된다.

 

유아기(2-3세)

자율성 대 수치와 회의- 어떻게 독립적일 수 있을까?(의지)

이 시기에는 배변훈련을 비롯하여 아동의 자율성과 사회적 규제 사이에 갈등이 일어난다. 자율성은 생물학적 성숙의 결과로 스스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킴으로써 생겨난다. 수치란 다른 사람의 눈에 자신이 좋게 보이지 않는다는 느낌이다. 회의는 자신이 강력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자기를 통제할 수 있고, 자기보다 더 나은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고 깨닫는데서 시작된다.

 

어린 아동기(4-5세)

주도성 대 죄의식-어떻게 힘을 가질 수 있을까?(목표)

목표를 설정하며 그것을 달성하고자 노력한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다른 어떤 시기보다도 활발하게 움직이고 열심히 배우며 자신들의 야망을 사회적으로 유용한 것의 추구와 연결 지으려 한다.

 

아동기(6-11세)

근면성 대 열등감-어떻게 잘 할 수 있을까?(유능)

자아성장의 가장 결정적인 단계 , 이 시에 아동은 중요한 인지적, 사회적 기술을 숙달한다. 넓은 문화의 유용한 기술과 도구를 배우는데 전념한다 아동은 의미 있는 일을 배우고 꾸준한 주의집중과 지속적인 근면을 유지하는 자아능력을 발달시키며 또래들과 함께 일하고 노는 것을 배운다

 

청년기(12-20)

정체감 대 역할혼미-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성인 세계에 잘 맞출 수 있을까?(성실)

이 시기는 극적인 생리적 변화로 인한 격동의 단계이다. 청년기의 가장 중요한 과업은 새로운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시선이나 기대, 그리고 사회에서의 자신의 미래의 위치 등이 가장 큰 고민거리이다.

정체감 형성은 전 생애에 걸친 과정이기는 하지만 많은 내적 변화가 일어나고 미래의 진로가 결정되는 청년기에 가장 큰 위기를 맞게 된다.

 

초기 성인기(20-30) 

친밀감 대 고립감- 어떻게 사랑할 수 있을까(사랑)

성인의 발달단계는 다른사람에 대한 사랑과 보살핌을 넓혀가고 심회 시키는 단계들이다 이전에 단계인 청년기에 젊은이들은 사랑에 빠지기도 하지만 이것은 대부분 자기 정의를 위한 노력으로서 이성과의 상호작용에서 청년들의 자신의 진정한 감정, 서로를 보는 관점, 자신의 미래 계획, 희망, 그리고 기대에 관해 끊임없이 이야기함으로써 자신이 누구인지를 찾으려고 한다. 이렇듯 청년은 자신이 누구인가 하는 문제에 너무 몰두하게 되어 성인 초기의 과제인 친밀감을 획득하지 못한다

진정한 친밀감은 두사람이 생활의 모든 측면들을 함께 나누며 서로 조절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성인기(30-65)

생산성 대 침체- 어떤 선물을 줄 수 있을까(배려)

다음 세대를 기르는데 관심을 갖는다. 여기서 생산성은 넓게 정의되어 자녀를 낳고 기르는 것뿐만 아니라 작업을 통하여 물건을 만들고 이상을 세우는 것도 포함한다. 생산성이 결핍될 때의 결과는 성격이 침체되고 황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 사람들은 종종 의사 친밀로 퇴행하거나 마치 혼자 살아가는 것처럼 스스로에게 빠져들기도 한다

 

노년기(65+) 

자아통정 대 낙담- 어떤 선물을 받을 수 있을까?(지혜)

대체로 성공적인 노인 신체적 사회적인 쇠퇴에 어떻게 적응해 나가는가에 있다.

이 시기에 내적인 투쟁- 성숙과 지혜의 잠재력을 갖기 위한 투쟁을 강조한다. 자기 생애를 돌아보고 과연 가치가 있었는지를 질문한다 그 결과 낙담에 빠져들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낙담에 직면하면서 노인들은 자아 통정을 이루려는 노력을 한다. 자아 통정은 초연함과 철학적인 지혜로 노인을 인도한다

 

Erikson 이론의 평가

첫째, 가장 보편적인 주제 기술, 전 생이 포함하도록 단계 확장, 각 단계에서 사회적 요인들이 어떻게 개입되는지를 제시

둘째, 성숙의 개념을 긍정적, 포괄적인 의미로 발전시킴, 성숙을 자율성, 주도성과 같은 자아 양식들과의 보편적인 자아 속성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셋째, 자아발달의 여러 측면을 Freud의 성적 신체부위에 너무 무리하게 연결시킴

넷째, 이론과 개념 모호하여 명료한 이해와 경험적 연구를 어렵게 만듬

 

반응형
LIST